기업 가치 Enterprise Value
기업 가치의 사전적 의미
기업 가치企業價値
객관적으로 평가한 기업의 총가치.
기업 가치의 재무적 의미
기업 가치라는 것은 재무적으로 의미를 갖고, 투자지표로도 활용되고 있다. 기업가치의 영문인 Enterprise Value의 앞글자를 딴 EV가 바로 그것이다. EV/EBITDA와 같은 투자지표에서 활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.
(EV/EBITDA가 무엇인지 모르더라도 실망하지 마시라. 이런 투자지표는 차차 알아가도록 하겠다. 기대하시라.)
기업 가치는 기업의 이론적인 인수 가격이라고 할 수 있다. 시가총액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대차대조표상의 현금과 부채를 고려하여 평가한 가치이다.
[주식 용어] 시총, 시가총액(Market Cap.)이란?
시가총액의 사전적 정의 시가 총액時價總額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상장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 역시 사전적 정의가 꼭 명쾌하게 들리지는 않는 법, 시가총액의 의미를 파헤쳐 보
wisentry.com
현금이 많고 총부채가 적은 회사는 시가총액보다 기업가치가 더 낮고, 반대로 대차대조표에 현금이 적고 부채가 많은 회사는 시가총액보다 기업가치가 더 높다.
왜 기업가치가 이런 식으로 산정되는 것인가
일반적인 상식에서는
"현금이 많고 부채가 적다 = 좋다"
이렇게 해석이 되지 않겠는가? 그런데 기업가치는 회사를 인수하는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이다.
즉, 부채가 많다면, 이 회사를 사려면 갚아야 할 빚만큼 돈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. 시가총액 1000억짜리 회사를 사려는데 200억의 빚이 있다? 그렇다면 1200억을 주고 회사를 살 수 있다는 의미로 기업가치가 1200억이라고 한다.
반대로 현금이 많다면 어떻게 될까?
시가총액 1000억짜리 회사를 사는데, 빚은 없고 현금은 200억이 있다면? 그렇다면 800억만 있으면 회사를 살 수 있는 것이니 기업가치가 800억이 되는 것이다.
기업가치 계산 방법
기업가치 = 시가 총액 + 부채 + 소수 지분 + 우선주 – 총 현금 및 현금 등가물
댓글